Leitkultur (καθοδηγητική κουλτούρα)

Ο όρος „Leitkultur“ (κατευθυντήρια κουλτούρα) προέκυψε κατά τη διάρκεια των πολιτικών συζητήσεων για την ένταξη (Novak, 2006, 17). Εισήχθη το 1996 από τον πολιτικό επιστήμονα Bassam […]

Culture dominante (Leitkultur)

Le terme de „culture dominante“ (Leitkultur) est apparu dans le cadre des débats politiques sur l’intégration (Novak, 2006, 17). Il a été introduit en 1996 par […]

Leitkultur (ohjaava kulttuuri)

Termi „Leitkultur“ (ohjaava kulttuuri) syntyi kotouttamista koskevien poliittisten keskustelujen yhteydessä (Novak, 2006, 17). Sen otti käyttöön vuonna 1996 valtiotieteilijä Bassam Tibi. Tibin mukaan eurooppalainen johtokulttuuri perustuu […]

Leitkultur (juhtimiskultuur)

Mõiste „Leitkultur“ (juhtkultuur) tekkis integratsioonialaste poliitiliste arutelude käigus (Novak, 2006, 17). Selle võttis 1996. aastal kasutusele politoloog Bassam Tibi. Tibi sõnul põhineb Euroopa juhtkultuur lääne liberaalsel […]

Leitkultur (guiding culture)

The term „Leitkultur“ (guiding culture) emerged in the course of political debates on integration (Novak, 2006, 17). It was introduced in 1996 by the political scientist […]

Leitkultur (ledende kultur)

Begrebet „Leitkultur“ (ledende kultur) opstod i løbet af politiske debatter om integration (Novak, 2006, 17). Det blev introduceret i 1996 af politologen Bassam Tibi. Ifølge Tibi […]

하이 컨텍스트 문화

하이 컨텍스트 문화라는 용어는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민족학자인 에드워드 트위첼 홀의 일차원적 문화 접근법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는 1976년 그의 저서 ‚문화를 넘어서’에서 이 접근법을 소개했습니다. 이 책에서 […]

이질성

이질성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습니다. 비티그는 이질성의 동의어로 다양성, 다양성, 이질성, 불일치성 등을 언급합니다(참조: Wittig 2014, 14). 쇤후스의 온라인 문화 용어집에서 이질성은 „다양성의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

홈랜드

고향은 „수 세기에 걸쳐 여러 층의 의미를 전달하는 눈부신 문화적 현상“을 형성합니다(Kazal 2005, 61). 이 용어는 그 사용으로 인해 복잡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참조: Kühne/ Schönwald 2015, […]

습관

원래 고대 그리스어 헥시스(ἕξις)에서 유래한 라틴어 하비투스는 외적인 모습과 내적인 성향이라는 의미에서 개인의 태도에 반영되는 영구적인 행동 성향을 나타냅니다. 말투와 제스처부터 개인의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전체에 이르기까지 […]

글로컬라이제이션

민족학자 크리스토프 안트바일러 교수는 독일 일간지 디 차이트와의 인터뷰에서 글로컬라이제이션이라는 단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저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맥도날드가 자카르타에 문을 열었을 때, 우연히도 그 해 전 […]

세계화

세계화는 국가가 아니라 과정이며 „커뮤니케이션, 문화, 환경, 정치 및 경제와 같은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탈국가화’의 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스타케/토순 2019, 183) „세계화는 전 […]

탈출

도피는 불쾌하거나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생활 상황에서 벗어나 보호 또는 피난처를 찾는 것을 말합니다(참조: Wahrig 2011, 534). 제네바 난민 협약 국제법은 규정된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강제로 […]

페미니즘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a) „여성의 삶의 기회를 개선하기 위한 정치적-실천적 조치(여성 운동, 여성 해방)를 옹호하는 운동, b) 여성에 대한 차별을 과학적(및 실용적) 지식의 장벽으로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이론적-과학적 […]

이국주의

이국주의라는 용어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문학 및 예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사회학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에서 이국주의라는 용어는 „외국에 대한 명백한 태도“(폰 베이메 2008, 8쪽), 특히 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