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_Hyperkulturell_Zusatz_Final_01-01Logo_Hyperkulturell_Zusatz_Final_01-01Logo_Hyperkulturell_Zusatz_Final_01-01Logo_Hyperkulturell_Zusatz_Final_01-01
  • Info
  • Materialschrank
  • Lexikon
  • E-Learning
  • Seminare
✕

무형 문화 유산

자연적 특성뿐만 아니라 문화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1972년 190개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회원국이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세계 유산 협약)을 비준했습니다. 이는 한편으로는 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문화 및 자연 자산의 보호와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동시에 „이전 세대의 유산이 […] 미래 세대에게 전승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Hauser-Schäublin/Bendix 2015, 52)(하우저-샤우블린/벤딕스 2015, 51쪽 참조).

확장

1972년의 유형 세계유산 개념은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으로 보완되어 그 이후부터 다음과 같은 분야가 보호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언어를 포함한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통과 표현 양식

– 공연 예술

– 사회 관습, 의식 및 축제

– 자연과 우주에 관한 지식과 관습

– 전통 공예 기술 (참조: Eggert/Mißling 2015, 63쪽).

결과적으로 2003년 협약에 따라 „[…] 민족 집단이 종종 자신을 식별하고 […] […] 대대로 전승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효과와 중요성을 갖는“ 문화적 표현이 보호됩니다(Eggert/Mißling 2015, 64).

협약의 목표

멸종 위기에 처한 문화 표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는 한편으로는 그 생명력을 보존하고 증진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동시에 „수세기에 걸친 전통과 관습은 인류 문화유산의 무형적 구성 요소로서 보존된다“(Dippon/ Siegmund 2010, 32).

예시

2013년부터 독일은 ‚지식’이라는 모토 아래 세계유산 네트워크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Know. 독일은 2013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살아있는 문화유산의 다양성을 보존, 유지, 증진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유네스코1 참조). 다음 네 가지 범주가 이러한 다양성을 표현합니다:

  1. 연중행사의 관습과 축제

– 예: 하르츠 산맥의 캐롤 노래 또는 핀치 기동술

  1. 사람과 자연

– 예: 조산술 또는 독일 빵 문화

  1. 음악과 (신체적) 언어

– 예: 합창 또는 시 슬램

  1. 공동체 생활

– 예: 동프리지아 차 문화(유네스코2 참조).

더 많은 사례는 국가 무형문화유산 목록(www.unesco.de/kultur-und-natur/immaterielles-kulturerbe/immaterielles-kulturerbe-deutschland/bundeswei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독일 국가 무형문화유산 목록은 독일 차원의 다양성을 대표하지만, 국제적 차원에서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세 가지 목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 목표: 세계 문화 다양성에 대한 가시성을 높이고 동시에 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입니다.

– 예: 중국 실루엣

긴급보존이 필요한 무형문화유산 2차 목록

– 목표: 글로벌/지역적 개발로 인해 위협받는 문화 양식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시행합니다.

– 예: 라트비아의 가톨릭 소수민족인 수이티족의 문화권

  1. 유네스코 모범 사례 등록

– 목표: 모범 프로젝트 강조

– 예: 브라질의 살아있는 판당고 박물관(유네스코3 참조; 에거트/미슬링 2015, 68).

무형문화유산 지위의 단점

2003년 협약은 전 세계의 살아있는 문화유산을 증진하고 가치를 인정하며 문화 획일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지만, 무형문화유산 지위와 관련된 문제점과 도전 과제 또한 존재한다. 다음 목록은 이를 잘 보여줍니다:

– 협약의 도구화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의 골화, 성문화, 박물관화로 이어진다.

– 특정 가치가 담긴 표현이 만들어지고 진품 또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 국가는 무형문화유산의 지위를 통해 특정 이미지를 만들고자 합니다.

– 공동체와 단체가 문화 보유자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누가 문화 보유자로 간주되는지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없습니다.

– 무형문화유산의 관리는 일차적으로 국가의 책임이기 때문에 공동 결정권은 정치적 또는 계층적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먼저 만들어져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보존 조치의 결정, 등재 및 이행은 국가의 임무이므로 위에서 언급 한 목록은 항상 선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하므로 등재 과정에서 세계 유산에 대한 적합성이 단계적으로 결정되고 문화적 형태를 매력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는 사람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권력 불균형을 재현 할 수 있습니다.

– 결과: 강대국의 헤게모니

– 문화적 형식에 대한 통제권 행사

– 상업적/산업적 마케팅

– 정치적, 경제적, 이상주의적 가치 평가(참조: Eggert/Mißling 2015, 65-77).

 

문학

Dippon, P./ Siegmund, A.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주장 – 세계유산 협약과 지역 관행 사이의 긴장 관계에 대한 현재의 재고 조사. In: Ströter-Bender, J. (ed.): 세계유산 교육. 유네스코 세계유산 교육에 대한 입장과 담론. Marburg, 31-43.

Eggert, A./ Mißling, S. (2015): 200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In: Groth, S./ Bendix, R./ Spiller, A. (eds.): 재산으로서의 문화: 도구, 단면 및 사례 연구. 괴팅겐, 61-77.

Hauser-Schäublin, B./ Bendix, R. (2015): 세계 유산. In: Groth, S./Bendix, R./ Spiller, A. (eds.): 재산으로서의 문화: 악기, 단면 및 사례 연구. 괴팅겐, 51-58.

유네스코1 (nd): https://www.unesco.de/kultur-und-natur/immaterielles-kulturerbe/immaterielles-kulturerbe-deutschland [01.02.2019].

유네스코2 (nd): https://www.unesco.de/kultur-und-natur/immaterielles-kulturerbe/immaterielles-kulturerbe-deutschland/bundesweit [01.02.2019].

유네스코3 (nd): https://www.unesco.de/kultur-und-natur/immaterielles-kulturerbe/immaterielles-kulturerbe-weltweit [01.02.2019].

https://www.youtube.com/@hyperkulturell

Themen

Antisemitismus Benjamin Haag Bulgarisch Chinesisch Diskriminierung Diversität Dänisch Englisch Estnisch Finnisch Flucht Flüchtlinge Französisch Griechisch Heimat Identität Indonesisch Integration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terkulturelle Kompetenz Interkulturelles Lernen Islam Italienisch Japanisch Koreanisch Kultur Lettisch Litauisch Migration Niederländisch Norwegisch Polnisch Portugiesisch Rassismus Rumänisch Russisch Schwedisch Slowakisch Slowenisch Spanisch Tschechisch Türkisch Ukrainisch Ungarisch Werte
✕
© 2024 Hyperkulturell.de       Impressum      Nutzungsregeln       Datenschutz